나이가 들수록 운동 신경이 민감하게 작용하지 못하여 어둔해지게 된다. 그래서 나이가 들면 들수록 근력 운동과 함께 몸의 유연성을 기르는 운동을 꾸준하게 해야 한다. 우리의 몸은 뼈도 튼튼해야 하고, 힘줄과 근육도 발달해야 하며, 피부와 혈관은 물론 신경까지도 정상적으로 작동해야 건강하게 살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자기 몸을 자신 스스로가 관심을 가지고 꾸준하게 관리하고 운동하는 습관을 들이면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훨씬 건강하게 지낼 수 있다. 평소 살아가면서 자신을 사랑하는 첫 번째 방법이 바로 자기 몸과 마음에 대해 지극한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는 일이다.
그다음으로 관심과 관찰을 통하여 평소와 다른 점을 발견하면 바로 어떤 상태인지를 알아서 조치를 취하는 일이다. 무엇보다 몸이나 마음의 이상 상태나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비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데, 그 방법으로 쉽게 활용하는 것이 운동이며 건강 검진이다. 운동이 필요하고 중요한 이유는 몸의 근육은 사용하지 않으면 퇴화하고 근육이 있던 자리가 지방으로 채워져 필요할 때 힘을 쓸 수 없는 상태가 되면서 점차 쇠퇴하여 움직이지도 못하는 최악의 상황을 맞을 수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 학교 다닐 때 용불용설(用不用說)을 배웠을 것이다. 몸의 근력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말이 나온 김에 용불용설을 복습해 본다. 용불용설(用不用說)이란 "자주 사용하는 기관은 생물이 세대를 거듭함에 따라 발달하며, 그렇지 않은 기관은 점점 퇴화한다는 학설로, 장 바티스트 라마르크(Jean-Baptiste Lamarck)가 처음 소개한 진화설이다. 그는 《동물 철학》(1809년) 제1법칙에서 '어떤 동물의 어떤 기관이든지 다른 기관보다 자주 쓰거나 계속해서 쓰면 그 기관은 더욱 강해지고 크기도 더해 간다. 이와 달리 어떤 기관을 오래도록 사용하지 않으면 차차 그 기관은 약해지고 기능도 쇠퇴한다. 또한 크기도 작아져 최종에는 거의 없어진다.'라고 말했다."라고 되어 있다.
자신의 몸 관리는 젊을 때부터 습관을 들여 꾸준하게 노력하면 나이가 들어서 그만큼 운동이나 질환 등으로 인한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정상적인 몸 상태가 이 세상을 떠날 때까지 유지가 되면 그 이상 더 바랄 것이 없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나이가 들면 건강을 되찾기 위해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하고, 만에 하나 심한 질환을 앓게 되면 병원을 오가거나 쉽게 움직이지 못하여 일상적인 삶을 살지 못하는 바람에 쓸데없는 곳에 시간을 허비하게 되어 정작 하고 싶은 것을 하지 못하는 불행한 삶을 살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건강은 건강할 때 지켜야 한다는 말이 있다.
오늘 헬스조선에 "앉아서 한 발로 못 일어나면 '운동기능저하증후군'"이라는 기사가 있어 도움이 될 것 같아 더 찾아보았더니, 이와 똑같거나 유사한 기사가 2019년(12월 3일)에 한 번, 올해만 해도 이번이 두 번째(2월 4일과 12월 13일)로 보도된 것을 알게 되었다(조선일보 검색창에 '운동기능저하증후군'을 입력하고 검색한 결과). 그만큼 운동을 하지 않으면 나이와 상관없이 운동 부족이기 때문에 미리 대비하라는 뜻에서 여러 차례 기사화하지 않았을까 한다. 그래서 가장 먼저 기사화 한 2019년 보도 내용의 원문을 옮겼다. 최소한 여기 소개한 네 가지 운동이라도 매일 꾸준하게 하면 좋겠다.
---------------------------------------------------
앉아서 한 발로 못 일어나면 '운동기능저하증후군'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9.12.03 09:14
[운동 부족과 신체 기능]
운동 부족 젊은 층도 퇴행성 변화… 뼈·근육 약해지면 운동 기능 '뚝'
관절 가동 범위 줄면 보폭 작아져
빨리 걷기와 스쿼트·런지 등 병행… 허벅지 앞쪽·엉덩이 근육 단련을
젊은 나이라도 평소 운동 부족 상태라면 스포츠 활동이 어렵고 나중에 걷기 장애까지 생기는 '운동기능저하증후군'에 빠질 수 있다. 대한정형외과의사회 남기세 부회장은 "운동기능저하증후군은 고령 사회 대비를 위해 나온 개념이지만, 스마트폰 등 때문에 운동 부족이 심각한 젊은층도 운동기능저하군에 대한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 활동량 감소하면서 운동 기능 떨어져
운동기능저하증후군이란 뼈·척추·관절·신경·근육 같은 운동과 관련된 기관이 약해져 통증이 생기고, 관절의 이동 범위가 줄어들며, 뼈의 정렬이 불량해지고 나중에는 걷기에 어려움이 생기는 질환이다. 2007년 일본정형외과학회에서 처음 제안한 개념으로 '로코모티브 신드롬(Locomotive Syndrome)'이라고도 불린다. 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김병성 교수는 "활동량이 줄면 근육부터 빠지기 시작하고 뼈, 관절, 척추에도 나쁜 영향을 미친다"며 "운동 능력이 떨어져 스포츠 활동에 어려움을 겪다가 걷기에도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인들의 신체활동 부족은 심각하다.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19세 이상 성인에서 걷기 실천율(최근 일주일 동안 걷기를 하루 총 30분 이상, 주 5일 이상 실천한 비율)은 2005년 60.7%에서 2018년 40.2%로 크게 줄었다.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은 2014년 58.3%에서 2018년 47.6%로, 유산소 및 근력 운동 실천율도 같은 기간 16%에서 15.4%로 감소했다.
◇ 앉아서 한 발로 못 일어나면 진단
운동기능저하증후군을 진단하는 테스트가 있다. 첫번째는 한 발로 40㎝ 높이의 의자에서 일어나는 것이다. 이 때 양손은 이용하지 말고 가슴 앞에 모아둔다<사진>. 일본에서 고안된 이 테스트는 한 발로 일어나지 못하면 운동기능저하증후군 초기인 1단계라고 본다. 양 다리로 20㎝ 높이의 의자에서 일어나지 못하면 운동기능저하증후군이 심각한 2단계로 본다.
두번째 테스트는 최대 보폭으로 두걸음 걷는다. 보폭의 총 길이가 자신의 키의 1.3배 미만이면 운동기능저하증후군 1단계, 1.1배 미만이면 2단계다. 40세 이상인 일본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단계를 막론하고 운동기능저하증후군 유병률은 남성 10.8%, 여성 12.9%로 높았다. 바른세상병원 서동원 원장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큰 근육은 허벅지 앞쪽 대퇴사두근과 엉덩이 근육"이라며 "한 발로 일어서려면 이 두 근육이 충분히 발달해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남기세 부회장은 "40㎝ 높이의 낮은 의자에 앉으면 무릎이 90도 이하로 굽혀지는데, 이 높이에서 한 발로 일어나야 하체 기능이 정상"이라며 "이 자세가 안 되면 운동기능 저하가 시작됐으므로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보폭도 종아리 근육이 발달해야 앞으로 확 밀어주는 힘을 받아 원활해진다. 보폭이 작으면 근육 약화가 시작됐다고 보면 된다고 남 부회장은 설명했다. 관절의 가동 범위가 줄어도 보폭이 작아진다.
◇ 운동 기능 높이는 로코모션 훈련법
한양대병원 가정의학과 박훈기 교수는 "운동을 하지 않으면 20~30대라도 운동 기관의 퇴행성 변화는 시작된다"며 "테스트를 통해 운동기능저하증후군을 확인했으면 바로 운동을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운동기능저하증후군 개선을 위한 '로코모션 훈련법(locomotion training)'이 있다. 총 4가지 운동법으로 구성돼 있는데, 첫째는 '눈 뜨고 한쪽 다리로 서있기'이다. 다리를 번갈아 가며 1분씩 매일 3회 시행한다. 둘째는 '스쿼트'이다. 양발을 어깨 넓이로 벌리고 서서 최대한 앉는다. 이 때 무릎 굴곡 각도가 최대 90도를 넘지 않아야 하며 무릎이 발가락보다 앞으로 나오면 안 된다. 5~15개의 스쿼트를 매일 3회 시행한다. 셋째 '똑바로 서서 발뒤꿈치를 천천히 들었다 내리기'다. 10~20회 매일 3회 시행한다. 넷째는 '런지'다. 똑바로 서서 한쪽 다리를 앞으로 내딛은 다음에 허벅지가 바닥에 평행이 될 때까지 낮춘다. 10~20회 매일 3회 하면 된다. 남기세 부회장은 "현재 관절·척추 질환이 있으면 의사의 평가나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고 말했다.
훈련과 함께 빠른 걷기 운동도 도움이 된다. 다만 관절 통증이 생기면 안 되므로 너무 무리하지 않고 땀이 살짝 날 정도의 강도로 매일 운동할 것을 권한다.
'맛과 건강 > 건강에 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간단 신체나이 측정 방법 (0) | 2021.12.29 |
---|---|
K-방역, 어디로 가고 있는가? (1) | 2021.12.16 |
암 중에 폐암이 가장 최악? (0) | 2021.12.11 |
최고의 건강 도구는 "춤" (0) | 2021.12.09 |
겨울에 심장 질환이 많아지는 이유와 심장에 좋은 음식과 해로운 음식 (0) | 2021.11.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