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초순부터 들녘이나 야산에 무리를 지어 피어나는 노란색의 산괴불주머니꽃을 흔히 볼 수 있다. 진달래꽃이나 철쭉꽃에 비해 화려하지도 않고, 사람들의 눈을 끌만큼 특이하지도 않아 무심코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그래도 자세히 관찰을 해보면 현호색꽃과 비슷한 꽃 모양에 층층이 꽃들을 매달고 곱게 피어 있는 꽃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홀로 많은 꽃들을 피우고 있는 산괴불주머니도 있지만 무리를 지어 산괴불주머니 꽃밭을 만들고 있는 곳도 자주 눈에 들어온다. 뒷산 약수터에 갈 때마다 마주치는 산괴불주머니꽃을 올린다.
산괴불주머니는 척박한 돌틈이나 비탈진 곳 등을 가리지 않고 자라나 샛노란 꽃송이를 층층으로 주렁주렁 매달고 아름답게 피어난다. 평범하면서도 피어나는 자태가 너무나 여유롭고 자연스러워 닮고 싶은 꽃이기도 하다. 괴불주머니란 뜻은 어린아이가 주머니끈 끝에 차는 노리개를 일컫는데, 그 열매가 괴불주머니와 닮아서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괴불주머니꽃은 연한 노란색인데 반해 산괴불주머니꽃은 샛노란색이고, 자주괴불주머니꽃은 자주색으로 차이가 있다고 한다. 꽃말은 보물주머니라고 하니 귀하게 여겨야 할 꽃이다.
산괴불주머니는 천연 진통제라고도 하고, 중풍과 허리 통증에도 효능이 있다고 하며, 뇌질환에도 좋다고 한다.
다음은 두산백과에 나오는 산괴불주머니에 관한 내용이다.
산괴불주머니는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현호색과의 두해살이풀로, 습한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 약 40cm이다. 원줄기는 속이 비고 곧게 자라며 가지가 갈라지고 전체에 흰빛을 띤다. 잎은 어긋나고 2회 깃꼴로 갈라지며 길이 10 ∼ 15cm, 나비 4 ∼ 6cm이다. 갈래 조각은 달걀 모양이며 다시 깃처럼 갈라지고 마지막 갈래 조각은 줄 모양의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꽃은 4 ∼ 6월에 노란색으로 피며 길이 2 ∼ 2.3cm이고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포는 달걀 모양 바소꼴이고 때로 갈라진다. 화관은 끝이 입술 모양으로 갈라지고 밑부분은 꿀주머니로 된다. 수술은 6개이며 다시 2개씩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蒴果)로서 줄 모양이며, 종자는 둥글고 검은빛이며 겉에 가늘고 오목한 점이 흩어져 있다. 한국, 일본, 중국 동북부, 헤이룽강, 우수리강 등지에 분포한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산괴불주머니 (두산백과)>
'꽃과 풀 그리고 차 > 꽃과 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활짝 핀 아까시꽃과 꿀벌 (0) | 2021.05.13 |
---|---|
언제 봐도 아름다운 작약 (2) | 2021.05.09 |
미나리아재비꽃과 미나리냉이꽃 (0) | 2021.04.29 |
특이한 자태의 매발톱꽃 (0) | 2021.04.27 |
등꽃을 보면 (0) | 2021.04.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