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꽃과 풀 그리고 차/꽃과 풀

범꼬리꽃과 흰나비 그리고 수국꽃

by 감사화 2022. 6. 17.
728x90
반응형

제법 여름다운 열기가 느껴지기 시작하고 있다. 지난번 비가 내리고 난 뒤로 계속 찌뿌듯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아침저녁으로 가을을 느끼게 하는 날씨였는데, 한낮에는 무더위를 조금 느낄 수 있으니 하는 말이다. 세월 앞에는 장사가 없다고 하더니 그렇게 가물고 차갑던 겨울이 가고 봄이 오는가 했는데, 벌써 여름 한가운데로 들어서 무성한 녹음 속에서 그늘을 즐기는 때가 되었다. 올여름은 예년보다 더 무더울 것이라는 기상청의 예보가 있었지만 다음 주부터 시작될 장마철에 접어들 것 같고 비가 오락가락하면 습도가 높아도 덥지는 않을 것 같아 예년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 같은 느낌이다.

어제 오후 늦은 시각에 약수를 긷기 위해 뒷산 약수터를 다녀왔는데, 산행을 즐기는 등산객들이 거의 없었고 운동기구에서 운동하러 나온 사람들이 몇 명 있을 정도로 고즈넉했다. 약수터 가는 길에 보니 이름을 모르는 하얀 꽃에 흰나비가 앉았다가 사람이 다가오는 것을 알아챘는지 이 꽃 저 꽃으로 자리를 바꾸어 앉으며 한여름의 오후를 즐기고 있는 것 같았다. 이렇게 이름을 모르는 꽃을 보면 저절로 "모야모"라는 앱으로 질문을 해보고 있는데, 이 하얀 꽃의 이름이 범꼬리꽃이라고 했다. 꽃의 모양이 범의 꼬리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는데, 꽃범의꼬리꽃의 축소형 같았다.

무성하게 우거진 잡초 속에 불쑥 솟아올라 홀로 또는 여럿 꽃대를 세우로 바람에 흔들리며 피어 있는 범꼬리꽃의 자태는 외롭기도 하고 여유롭게도 보였다. 그런 범꼬리꽃에 꿀을 따기 위해서인지 흰나비 한 마리가 춤을 추며 다가가 앉으면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범꼬리꽃이 바람이 없는데도 살짝 좌우로 흔들거리며 흰나비를 맞는 것 같아 가던 길을 멈추고 몇 장을 담아보았다. 범꼬리꽃과 흰나비가 연출하는 아름다운 교향곡이 울려 퍼지기라도 하듯이 숨을 죽이고 그 모습에 정신을 완전히 빼앗겼다. 자연이 주는 신비로움과 환상적인 어우러짐은 언제 봐도 지치지 않고 싫증도 나지 않아 즐겁기만 하다.

<범꼬리꽃에 앉은 흰나비>
<우거진 수풀속의 범꼬리꽃에 앉아 쉬고 있는 흰나비>
<산속에 홀로 피어 있는 범꼬리꽃>

약수터에서 약수를 긷고 운동기구가 있는 쪽으로 올라가니 입구 쪽에 매년 이맘때면 피기 시작하는 수국이 달랑 한 송이 꽃을 피워내고 있었다. 올해 처음으로 보는 수국꽃인데 꽃 색깔이 너무 아름다워서 꽃 속으로 빠져들 것 같았다. 한 그루의 수국에서 피는 꽃이지만 꽃 색깔이 똑같지가 않아 몇 그루가 한데 어우러져 피는 것인가 하는 생각도 해보았다. 보통 수국꽃의 색깔은 토양의 성질에 따라 달라진다고 하는데, 알칼리성이면 붉은색이고 산성이면 푸른색이라고 한다. 그런데 약수터의 수국꽃은 막 피기 시작해서인지 가장자리는 연한 자주색이 섞여 있고 가운데는 연두색으로 아주 고왔다.

<뒷산 약수터 근처에 싱그럽고 아름답게 피어 있는 수국꽃>
<확대시켜 본 아름다운 수국꽃>

다음은 두산백과에 나오는 범꼬리에 대한 내용이다.

범꼬리는 쌍떡잎식물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만주범의꼬리라고도 한다. 산골짜기 양지에서 자란다. 높이 30∼80cm이다. 뿌리줄기가 짧고 굵으며 잔뿌리가 많다. 뿌리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넓은 달걀 모양이고 점차 좁아져서 끝이 뾰족하고 밑은 심장밑 모양이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뒷면은 흰빛이다. 잎 길이 5∼10cm, 나비 3∼7cm이다. 줄기에 달린 잎은 이와 비슷하지만 잎자루가 짧고 잎도 작다. 잎집은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이다.

꽃은 6∼7월에 연분홍색 또는 흰색으로 피고 수상꽃차례에 달린다. 꽃잎은 없고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8개로 꽃받침보다 좀 더 길고, 꽃밥은 연한 붉은빛을 띤 자주색이며 수술대 밑부분에 작은 샘[腺]이 있다.

열매는 수과로서 9∼10월에 익는데, 꽃받침에 싸이며 3개의 능선이 있다. 어린잎과 줄기는 식용하고, 뿌리줄기는 열을 내리거나 경기(驚氣)를 다스리며 종기의 염증을 없애는 데 사용한다. 한국, 중국 동북부, 헤이룽강, 우수리강 등지에 분포한다.

<출처 : 범꼬리 [Asian bistort]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728x90
반응형

댓글